본문 바로가기

독서후기

인아랑 <법인으로 투자할까 개인으로 투자할까> 독서 후기+요약

반응형

 

1. 법인 대표는 본인이 해야 함. 대리인 내세우면 피곤한 상황 많음.

2. 흑자 운영을 할수있을때 법인 설립해도 늦지 않다.

- 아무것도 안하고 숨만 쉬어도 1년에 400~500만원 돈이 나간다.

3. 법인과 개인 명의 유연하게 활용하자.

- 단기 투자는 법인으로, 장기 투자는 개인명의로

- 매수전 매도 계획부터 세우자 > 매도전 다음 매수 계획까지 세우고 팔아라

4. 법인의 장점

명의 분산 효과

② 개인보다 대출이 유연 (단, 적자법인은 대출 어려울수있음)

비용 공제 항목의 범위가 넓다 (싱크대, 도배장판, 차량구입+운행비까지)

양도차익 과세에 유리하다

⑤ 자녀가 법인 주주로 참여할 수 있다

5. 법인의 단점

세입자 구하기 어려움 (임대인이 법인이면 좀 꺼려하는 경향이 많다고 함)

② 때로는 개인보다 세금을 더 낼수도 있음

③ 장기 투자에는 불리. 공제금액 X. 매년 종부세 최고세율(6%)

④ 숨만 쉬어도 나가는 돈

85m²를 초과하는 주택을 매도시 부가가치세(10%)를 내야한다.

6. 4억원 이상의 고가 주택 구입은 개인이 유리 (세금때문에)

7. 개인 vs 법인 부동산 아이템 적합도

① 주거용 부동산 - 전용 85m² 초과이면 개인이 유리

② 주거용 부동산 - 단기 투자, 양도세 중과 대상이면 법인이 유리

③ 아파트 분양권 - 중도금대출이 가능한 개인이 유리 (법인도 대출 가능할때도 있음)

④ 재개발 - 입주권까지 받으려면 개인이 유리

⑤ 오피스텔 - 비주거용이면 법인이 유리

⑥ 상가&지식산업센터 등 수익형 부동산 - 법인이 유리

⑦ 토지 - 수익형이면 법인이 유리

8. 자본금이 적을수록 시세차익 중심으로 투자할 것

9. 법인 설립 초기에는 아파트 투자부터

- 경매는 비추 / 특수물건은 특히 비추

개인 vs 법인 구매시 장단점이 많은 사례와 함께 있어서 이해하기 좋았습니다.

10. 의미있는 자산 증식

=> 개인투자와 법인 운영의 장단점을 적절하게 활용하자


부동산 법인 설립준비를 위해 읽었던 책

개인명의+가족명의를 다 사용한 이후에는

법인으로 투자하기 위해 설립한다고만 생각했는데

저자는 아이템에 따라

개인명의 투자도

꾸준히 지속해나가야 된다고 말해주었다.

+

법인설립시 공유오피스로 할지

집으로 주소지를 둘지 고민했었는데

저자는 경매로 상가낙찰을 받은후

사무실 + 공유오피스를

같이 하는 방법으로

+@ 수익을 내고 있었다.

"저렇게도 할수 있겠구나"

법인설립 방법뿐만 아니라

보유기간+가격이 따라서

투자 계산기를 두드릴 수 있도록

공부할 수 있는 좋은책

솔직히 말해

한번만 읽는 걸로는

다 이해하지 못했다.

(공부좀 해야겠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