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은행이
2022년 금융안전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23년 부동산시장 하락할 수 밖에 없는 이유
1. 주담대 부담 DSR 60% 육박
주담대 차주의 DSR은 현재 60%
맞벌이 소득 600만원 버는 가정의 경우
360만원을 원리금 상환에
들이박고 있다는 이야기...
미 연준이 금리를 5.1% 까지
올릴것이라고 말했기 때문에
23년 상반기에는 더 지옥이 예상됩니다.
2. 자영업자의 비금융권 대출
자영업자의 대출 상황이 심상치 않습니다.
비은행권 대출은 400조를 넘어서기 직전이고
비은행권 대출 증가율도 28.7%로
증가폭 또한 매우 높습니다.
은행권 대출도 6.5% 까지 감소하면서
대출이 점점 어려워지자
비은행권 대출에 손을 댄 것으로 보이네요.
문제는 2금융 3금융권 금리는
더 무섭게 치고 올라간다는거 ㅠㅠ
던지고 싶은 사람은 많은데
사줄 사람은 점점 사라져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는
뉴스에서 기사로 나오는 것보다
더 심각한 현실을 보여줍니다.
여기에 글로벌 경기침체, 원자재 가격 상승
국내기업의 무역적자,
국내 주식시장의 붕괴까지...
반등할만한 긍정적인 이슈조차 보이지 않습니다.
정부가 놀랄만큼 빠르게
규제완화를 하더라도
부동산 가격하락을 보는 이유입니다.
무릎에 사려고 했던 분들도
23년에는 숨고르기가 필요해 보입니다..
반응형
'부동산 이슈&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명 참패. 부산은 흥행 규제해제의 영향일까...? 광명 철산자이 / 광명10구역 호반써밋 / 남천자이 청약결과 (0) | 2022.12.28 |
---|---|
국토부 도심공공복합사업 후보지 3곳 선정 : 목동이 넓어진다. (0) | 2022.12.27 |
2023년 바뀌는 부동산 정책 : 23년 부동산 규제 대폭 해제 / 기재부 2023년 경제정책방향 (0) | 2022.12.23 |
과천 하수처리장 입지선정 - 원도심 재건축 지연 + 과천지구 청약대기자 고민 (0) | 2022.12.16 |
「재건축 안전진단 합리화 방안」 발표 - 목동 재건축.. 속도낼수 있을까? (0) | 2022.12.12 |